본문 바로가기
한국 전통 디저트

[한국의 떡] 한국 지역 별 떡의 종류와 특성

by peacefultoday 2025. 4. 10.

경단
경단

 

●경기도

 

 경기도 떡은 종류가 많고 모양도 멋을 부려 화려하다. 특징 있는 떡으로는 흰 절편에 노랑· 파랑 ·분홍물을 들인 색떡, 여주산병, 개성우메기와 개성경단, 강화의 근대떡, 개떡 등이 있습니다.

 

 

● 충청도

 

 양반과 서민의 떡이 구분되어 있는 충청도는 해장떡 ·쇠머리떡 ·약 편 ·흰떡 ·볍씨쑥버무리 ·칡개떡 ·햇보리개떡 등이 있었으나, 요즘은 종류가 현저히 줄어들었습니다.

 

 

● 강원도

 

 강원도 산과 바다가 공존하는 지역으로, 재료도 다양하여 떡의 종류도 많습니다. 영동과 영서지방의 떡은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. 대표적인 떡은 감자시루떡 ·감자떡 ·감자녹말 송편 등 감자로 만든 떡이 주류를 이루지만, 댑싸리떡 ·메싹떡 ·팥소 흑임자 ·우무송편 ·방울증편 등도 알려져 있습니다.

 

 

● 전라도

 

 전라도는 곡식이 가장 많이 생산되어 음식 못지않게 떡도 사치스럽고 맛이 각별합니다. 감시루떡 ·감고지떡 ·감인절미 ·나복병 ·수리취떡 ·고치떡 ·삘기로 만든 삐삐떡(삘기송편) 등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, 특히 깨떡(깨 시루떡)이 유명합니다.

 

 

● 경상도

 

 경상도는 각 고장에 따라 떡이 달랐는데, 상주와 문경에는 밤 ·대추 ·감으로 만든 백설기와 편떡을 많이 해 먹었고, 경주의 제사떡이 유명하였습니다. 이 밖에 모시잎송편 ·밀 비지 ·만경떡 ·쑥굴레 ·잣구리 등이 특색 있는 것들입니다.

 

 

● 제주도

 

 제주도는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이라 쌀보다 잡곡이 흔합니다. 떡의 재료도 메밀 ·조 ·보리 ·고구마가 많이 쓰였습니다. 다른 지방에 비해 떡 종류가 적고, 쌀일 이용한 떡은 귀하게 여겨 제사 때만 썼습니다.

대표적인 떡으로는 오메기떡 ·경단 ·빙떡 ·빼데기 ·상애떡 등이 있습니다.

 

 

● 황해도

 

전라도와 비슷한 지형적 특징인 황해도는 조를 떡의 재료로 많이 쓰며, 잔치 메시루떡 ·무백설기 ·오쟁이떡 ·큰 송편 ·우기 ·수수무살이 ·닭알범법 등이 주로 즐겨 먹는 떡입니다.

 

 

● 평안도

 

 평안도의 떡은 다른 지방에 비해 매우 큼직하고 소담스럽게 만드는 것이 특징입니다. 장떡 ·조개송편 ·찰부꾸미 ·노티가 대표적인 떡입니다.

 

 

● 함경도

 

 우리나라에서 기온이 가장 낮은 고장인 함경도는 콩 ·조 ·강냉이 ·수수 ·피의 품질이 좋아 이들을 이용해 떡을 만듭니다. 모양은 떡에 맵시를 부리는 일이 드물어 소박하고 구수합니다. 찰떡 인절미 ·달떡 ·오그랑떡 · 찹쌀 구이 ·언 감자떡이 함경도를 대표하는 떡입니다.

 

 

 

출처:《한국의 떡 · 한과 · 음청류》

 

[한국의 떡] 만드는 방법에 따른 떡의 종류

 

[한국의 떡] 만드는 방법에 따른 떡의 종류

●찌는 떡  찌는 떡을 다른 말로 시루떡이라고도 하는데, 멥쌀이나 찹쌀을 물에 담갔다가 가루로 만들어 시루에 안친 뒤 김을 올려 익히며, 찌는 방법에 따라 다시 설기떡(무리떡)과 켜 떡으로

peacefultoday.tistory.com